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10

선물 이왕이면 선물은 고급이 좋다. 받는 것도 주는 것도. 고급은 오래 간다. 선물에는 추억이 깃든다. 시선이 가고 시력이가고 눈이 보고 뇌가 보고 피가 보면 선물에 대한 추억을 떠올려준다. 선물은 오래가는 게 좋다. 2015. 12. 9.
2015 대한민국 민중총궐기 2015년 대한민국 민중총궐기 (2015年 大韓民國 民衆總蹶起), 또는 민중총궐기 (民衆總蹶起)는 박근혜 정부의 노동정책 (노동개혁, 청년실업 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소홀, 농민문제, 빈곤문제 등에 항의하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 여러 단체에서 2015년 11월 14일 개최한 집회 시위를 말한다.[5] 이 집회는 29명의 부상자와 51명의 체포자를 내고 평화적 해산으로 종료되었으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민중총궐기 투쟁본부 등 민중총궐기 주최 측은 2015년 12월 5일에 2차 민중총궐기 집회를 갖겠다고 밝혔다.[6]출처 및 더 자세한 내용https://ko.wikipedia.org/wiki/2015%EB%85%84_%EB%8C%80%ED%95%9C%EB%AF%BC%EA%.. 2015. 11. 20.
유치원생 안보교육에 100억 투자 유치원생 안보교육에 100억 투자 http://www.instiz.net/pt/3359240 2015. 11. 11.
공통점 모든 사람은 생각한다. "왜 하필 나야.." 2015. 11. 10.
깃허브Github - Tcollector Install 깃허브Github - Tcollector Install Tcollector Install Execution of one terminal anymore cd /usr/local git clone git://github.com/OpenTSDB/tcollector.git cd tcollector 'startstop' Changing the file vim startstop Please comment cancel the portion of the '#TSD_HOST=dns.name.of.tsd' and Enter the Ip address.(4~5 line) TSD_HOST=192.168.X.X ### & ifconfig 명령으로 IP확인 Tcollector Run - Execution of one termin.. 2015. 10. 30.
깃허브 github OPENTSDB - tsd 그래프 가져오기 깃허브 github OPENTSDB - tsd 그래프 가져오기 http://127.0.0.1:4242/api/query?start=2015/10/14-00:00:00&end=2015/10/14-08:19:49&m=sum:foo.bar # 결과 [{"metric":"foo.bar","tags":{"host":"mypc"},"aggregateTags":[],"dps":{"1444835983":2015.0}}] 2015. 10. 30.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무엇이 문제인가. 1. 국정화란 무엇인가?2. 국사 교과서 국정화 왜 논란인가?3. 국정화 무엇이 문제인가? 1. 국정화란 무엇인가 국정교과서?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에 의하면 교과용 도서는 교과서 및 지도서를 말하며, 교육부가 저작권을 가진 국정도서와 교육과학부기술부장관의 검정을 받은 검정도서, 교육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인정도서로 구분된다. 국정도서는 교육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교과목에 한하며, 교육부 고시 제2011-14호 기준으로 국정도서 개발 대상은 1. 초등학교에서 통합(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 체육 3~4학년, 예술 3~4학년 과목의 교과서 115종, 지도서 63종, 2. 중학교에서 생활 독일어, 생활 프랑스어, 생활 스.. 2015. 10. 9.
육체와 정신과 생명 그럴 즈음에서 조금 이전 어느 날 닥터 김, 그리고 나의 형님이 찾아와서 어느 아가씨의 팔을 절단해야 될 일이 있어서 내 의견을 물으러 왔었는데, 의사로서의 견해를 듣던 내 심정은 거의 절망에 찼고 그 말이 모두가 옳았고 그래야만 된다는 것을 시인하면서도 한편 구석진 마음에서는 그렇게 절단해 버리면 그 아가씨는 정신이 함께 죽을 거고, 살아갈 육체는 건성일 뿐이겠지 하는 맘이 일면서 했던 말은, 그래도 한 번 더 심사숙고해서 처리하도록 하되 끊지 않는 방향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얘기했더니, 그래도 닥터 김은 의사의 자존심을 앞세우지 않고 내 고집을 거들어 준 덕택에 남의 귀중한 팔을 안 자르게 됐던 아슬아슬한 순간을 기억해 본답니다. 2015. 9. 16.
에니그마 시뮬레이터 에니그마 시뮬레이터 이미테이션 게임으로 유명해진 독일의 암호기계 에니그마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한에니그마 시뮬레이터. 에니그마의 해독 위키 -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8B%88%EA%B7%B8%EB%A7%88%EC%9D%98_%ED%95%B4%EB%8F%85 에니그마 시뮬레이터 작동법 - https://www.youtube.com/watch?v=rW6WbGb4mtI 2015. 9. 16.
휴식 오늘도 역시 그랬다.휴식을 취했다. 낮에 잠깐 나가 은행을 갔다가 점심을 먹고 서점엘 들렸다.책 두 권을 사고 집에 돌아왔을때가 오후4시.쭉 잤다. 어제도 쉬었다.벌써 화요일이 갔다.30일이 넘지 않는 날을 집 밖에서 약간은 힘들게 보내고 들어왔다.그에 대한 보상으로 충분한 휴식을 3일째 취하고 있다. 일상을 탈피했던 한 달은 사실상 나에게 아무 도움을 주지 못한듯집으로 돌아오자마자 휴식이라는 핑계로 일상에 안착했다. 이렇게 또 시간이 흐를까봐다시 같은 실수를 반복할까봐 꿀같은 이시간이 두렵다. 2015. 8. 25.
스크랩_ 국정원 해킹 직원의 자살 6가지 미스터리 http://www.huffingtonpost.kr/2015/07/20/story_n_7829712.html 국정원 해킹 직원의 자살 6가지 미스터리 1. 왜 극단적인 선택을? 2. 출근한 남편 실종신고? 3. 왜 100% 복구 가능한 파일을 삭제 했을까. 4. 삭제된 파일의 내용 5. 국정원의 개입 없었나. 6. 국정원 꼬리자르기에 압박을 느낀것 아닌가. 출처 및 원문 기사 : http://www.huffingtonpost.kr/2015/07/20/story_n_7829712.html 2015. 7. 22.
믿음 기차를 탈 때 어떤 사람은 일찍부터 와서 자리에 앉아 있고 어떤 사람은 느지막이 뛰어 와서 기차에 올라탑니다. 그래도 목적지에 도착하는 시간은 같습니다. 또 언제 도착하나 하며 운전칸에서 기웃거리며 조바심 내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렇게 노심초사한다고 기차가 빨리 가겠습니까? 기차에 일단 탔으면 목적지까지 가는 데에는 자기 노력이 필요 없습니다. 일단 승차했으면 자기가 잠을 자더라도 기차는 갑니다. 그것이 믿음입니다. 자신을 내려놓고 주님께 완전히 맡길 때, 그것을 바로 믿음이라고 합니다. 2015. 7. 18.
대표가 아닌 사람의 장점. 반장, 회장, 임원, 대통령...등 대표들에게는 책임과 권한이 주어진다.가끔은 비대표들의 시선으로 봤을 때 책임에 비해 권한이 과하다 싶을 때가 있다. 비대표.대표가 아닌사람들에게는 대표에게 없는 좋은점 하나가 있다.바로 대표를 마음껏 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요즘은 잡혀가나? 2015. 7. 11.
지킬것이 있는 사람 vs 지킬것이 없는 사람 승자는지킬것이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2015. 7. 7.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얉은 지식 (역사,경제,정치,사회,윤리)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얉은 지식 (역사,경제,정치,사회,윤리)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얉은 지식 (역사,경제,정치,사회,윤리) 이거 한 장이면 책 한 권을 요약할 수 있다.책은 한국에서 살면서 정말 기본적인 기초 지식을 알려주고자 한다.파트는역사 경제 정치 사회 윤리 이다. 내가 봤을 때 가장 핵심이 되는 파트는 정치다.나머지는 정치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적인 역할인것 같았다. 정치는 두가지로 나눈다.이미지에 나와 있듯진보와 보수다. 글쓴이는 사람으로 태어났다면 누구든지 좌나 우 한쪽에 서게 된다고 주장한다.아무리 정치에 무관심하고 무지하더라도 본능적으로 좌우를 선택하고, 자신이 추구하는 쪽을 지지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기업은 보수를 택하고 서민들은 진보를 택하는게 맞다. 책에서는 선.. 2015.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