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부/역사3 성경책의 역사3 성경이 한국에 오기까지 성경이 한국에 오기까지 종교개혁 이후 성경 번역본들이 쏟아지듯 출판된다.나라마다 각자 성경이 번역되는 과정이 있겠지만 큼직한 흐름에서 한국을 포함한 4개의 나라를 선정했다. 1. 스페인어 그러므로 또한 내가 너희에게 가려 하던 것이 여러 번 막혔더니 이제는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고 여러 해 전부터 언제든지 서바나로 갈 때에 너희에게 가려는 원이 있었으니 ... 그러므로 내가 이 일을 마치고 이 열매를 저희에게 확증한 후에 너희에게를 지나 서바나로 가리라 로마서 15:22-23,28 개혁한글 바울이 쓴 서신서 중 로마서를 보면 '서바나'라는 지명이 .. 2024. 8. 20. 성경책의 역사 2 성경 사본의 제작과 번역의 역사 성경책의 역사 두번째 글이다. 첫번째 글에서는 성경책에 쓰인 내용의 신뢰성에 대해서 써봤다. 사본 제작과 번역과정 중에서 내용의 변질은 없는지, 지금 읽고 있는 이 내용이 원본과 얼마나 유사한 지 등에 대한 내용이었다.이번에는 사본의 제작과 번역으로 주제를 잡았다.성경의 내용을 기록하고 전달하기 위한 사본 제작의 과정과 그 과정에서 번역된 성경에 대해서 알아봤다. Part1. 사본 제작 1. 기록 도구의 발전 파피루스 인류 최초의 기록은 프랑스 남부 지역에 있는 쇼베 퐁 다르크 동굴의 석화라고 한다. 대략 3만 2천년 전의 기록이라고 추정한다. 벽화를 지나 쐐기 문자가 새겨진 점토판도 많이 발견되었는데 지금까지도 잘 보존되어 있는 것들이 많다. 찾는 자료마다 주장이 .. 2024. 6. 18. 성경책의 역사 성경책이 우리 손에 쥐어지기까지의 역사 성경책하면 종교 경전이라는 이미지가 먼저 떠 오른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냥 관심이 없을 것이다.그런데 왜 소위 '지식인'이라고 하는 사람들, 공부깨나 했다는 사람들이 성경적 지식을 함양하려고 하는 걸까?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이야기들이 잔뜩 기록되어 있는 이 책을 왜 공부하는걸까? 도대체 왜 이 책이 역사 전체를 통트는 베스트셀러가 된 것일까? 이 책은 어느 정도 신뢰성이 있는 걸까?하는 질문에서 출발한 이야기가 되겠다. Part1. 성경책의 구성과 기록자 1. 유대교 성경책 먼저 전제를 해둘 게 있다. 성경책을 종교경전이라고 보기 보다는 이스라엘의 역사책이라고 봐야된다. 성경을 믿는 사람들이 이스라엘로 성지순례를 가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 2024. 5.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