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초통계2

[데이터분석입문]기초통계2 [데이터분석입문]기초통계2 A. t-분석 1. t-분석방법 독립변수가 비연속형 변수(명목척도나 서열척도)이고, 종속변수가 연속형 변수(등간척도나 비율척도)일 때 사용하는 분석방법 독립변수의 집단이 2개 이하일 때 사용한다. 비연속변수의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집단 간의 평균 차이 분석을 의미한다. t-분포를 사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진다. 독립변수가 1개의 집단 or 2개의 집단에 따라 가설과 분석방법이 변함. 2. t-분석의 종류 1) 일표본 t-분석 하나의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사용되는 분석으로 표본의 평균이 예측한 특정 수치와 같은 지 다른 지 검증하는 방법 H0 : 국내 중학생의 평균 키는 170cm이다. H1(양측 검증) : 국내 중학생의 평균 키는 170cm이 아니다. H1(단측 검증).. 2021. 12. 1.
[데이터분석입문]기초통계1 [데이터분석입문]기초통계1 A. 기술통계와 추리통계 1. 기술통계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대상들의 속성을 파악하는 방법 1) 중심경향값 전체 자료를 대표할 수 있는 수치들 평균값: 전체 자료 수치들의 총합을 전체자료의 수로 나눈 수치 중앙값: 최대값과 최소값의 정가운데 수치 최빈값: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수치 2) 분산도 전체 자료가 얼마나 퍼져있는지 알 수 있는 수치 분산 : 각 자료가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거리(편차)들을 제곱한 수치들의 총합을 전체 자료의 수로 나눈 수치 표준 편차 : 분산의 제곱근 수치 3) 상관계수 두 변수 간의 관계의 크기 4) 회귀계수 원인(독립변수)이 결과(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2. 추리통계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고 모집단의 속성들을 유추하는 방법 여러.. 2021. 1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