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취미4 시교차상핵 (suprachiasmatic nucleus, SCN) 시교차상핵 視交差上核(suprachiasmatic nucleus, SCN) 뇌의 중심부의 작은 부위인 시상하부의 영역에서 시신경이 교차하는 영역인 시각교차 구역 바로 윗부분에 위치해 있다. 외부로부터 빛 정보를 받아 신경과 호르몬의 활동을 조절하여 인간의 24시간 주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조절한다. 제대로 기능하지 않으면 불면증, 수면장애, 우울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시교차상핵이 하는 일1.수면-각성 주기 조절망막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감지하고 SCN으로 전달하면 SCN은 이 정보로 낮과 밤을 인식하고 필요한 호르몬 분비를 조절한다. 밤이 되면 멜라토닌 분비를 증가시켜 졸음을 유도하고, 부신(Adrenal Gland)에 신호를 보내 코르티솔(각성 호르몬) 분비는 감소시킨다. 반대로 아침에는 멜라토닌.. 2025. 5. 7. 보라빛 하늘 보라빛 하늘을 좋아한다.평화롭고 고요하면서도 열이 식지 않은 느낌이다. 2025. 1. 30. 과거 자연과 동물을 찍은 사진. 2015. 6. 15. 조리개를 닫고 ISO를 높혀라! DSLR은 없지만올림푸스 미러리스 E-5를 들고 나름대로 있어보이려고 'M'설정으로 카메라를 들고다닌다. 안동근처 시골엘 갔었던 적이 있는데,새벽 밤하늘에 별이 쏟아질 듯이 많이 있었다.카메라로 찍으려고 노력했으나 찍히는 건 그냥 밤... 너무너무 아쉬웠다. 시간이 지나서 어떤 친구를 알게 됐는데전공이 사진이었다.별을 찍는 법을 알려줬다. 그래서 찍어봤습니다!별 오 티스토리 좋다. 이런것도 알려주네. 조리개 값이 5.6인걸 볼수 있네요.조리개 값이 낮으면 조리개가 열려 있다. 라고 표현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빛을 많이 받고 피사체 주변에 뿌옇게 된답니다!셔터 속도도 느려져서 고정대가 없으면 찍기 힘들어지고요.근데 위에 사진은 별이 찍히기는 하지만 주변이 너무 밝죠? 다시 찍어봤습니다. 조리개 값은 그대로.. 2015. 6.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