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글/사회이슈8

46년 만에 계엄령 선포 46년 만에 계엄령 선포 엥? 저게 무슨 일이지?싶었던 순간이 꽤 많았던 정부지만 이번 계엄령 선포를 포함해 2번 정도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 맥락도 없고 이유도 모르겠는 타이밍에 갑자기 선전포고 하듯 뜬금없는 발표를 하는 순간들이었다.첫번째가 2024년 6월 3일 동해바다에 석유가 매장되어 있을 것이라는 발표였다. 윤석열 대통령은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2393 제 속 배불리기에 급급한 사람이라는 건 언론만 통하더라도 확실히 파악이 가능했고 그다지 숨길 생각도 없어보였기 때문에 어쩌면 겉과 속은 같은 사람이겠거.. 2024. 12. 9.
일본 불매운동 2019 7월 중순부터 시작된 일본 불매운동이 생각보다 지속되고 있다. ​ 냄비근성이니 금방 꺼질것이라는 일본 외신과 일본 기업들의 예상과는 달리 쉽게 꺼지지 않을 기세로 확산되고 있다. 일본의 한국인 여행은 30%정도가 줄었다고 한다. 유니클로 등 대표 일본효자 기업에도 인적이 뚝 끊겼다. 앞으로 시간이 더 길게 가면 어떤 양상으로 진행될지 궁금해진다. 조용히 시들것인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을 것인가. 2019. 7. 28.
횡령을 할거면 ​ 300억 이상. 2019. 7. 6.
나경원 2019. 3. 24.
161112 민중총궐기 오늘은 100년후 역사책에 기록될 역사적인 날이다. 시위장소에는 약 100만여명이 모였다. 폭력없는 평화시위가 이어지고있다. 평소 잊고 지내던 애국심이 불씨같이 피어오른다. 김재동이 말했다. 정치는 3류, 국민은 1류. 새삼 실감한다. 아무리 사회가 삭막하고 개인주의가 창궐해가는 세상이라해도 "할 건 해야지", "지킬건 지켜야지"라는 시민의식이 우리들 속에 언제나 대기하고 있다. 군대에서도 교육을 받으면 교육관 분들이 하는 말이 그거였다. 막상 전쟁이 나면 젊은 여러분들이 자발적으로 나설걸 알기에 걱정하지 않는다고. 연평도 폭탄투하 사건 때 해병대 지원률이 올라갔다. 응당 할 일은 한다는 의식이 우리속엔 내재한다. 우리라는 그 단어가 애국심에 불을 지피고 있다. 혼자서는 힘들지만 100만명이면 할만하다... 2016. 11. 12.
브렉시트(Brexit) 브렉시트[ Brexit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네이버 지식백과] 브렉시트 [Brexit] (시사상식사전, 박문각영국(Britain)과 탈퇴(Exit)의 합성어로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를 뜻하는 말이다. 그리스의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탈퇴를 일컫는 그렉시트(Grexit)에서 따온 말이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2015년 5월 총선에서 승리하면 EU 탈퇴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2017년까지 실시하겠다고 약속했고, 2015년 선거 후 승리 연설에서도 이를 다시 확인한 바 있다.■ 영국의 브렉시트 여론은 왜 일었나?브렉시트 여론은 유럽 재정위기를 계기로 촉발됐다. EU의 재정 악화가 심화되자 영국이 내야 할 EU 분담금 부담이 커졌고, 이에 영국 보수당을 중심으로 EU 잔류 반대 .. 2016. 6. 29.
2015 대한민국 민중총궐기 2015년 대한민국 민중총궐기 (2015年 大韓民國 民衆總蹶起), 또는 민중총궐기 (民衆總蹶起)는 박근혜 정부의 노동정책 (노동개혁, 청년실업 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소홀, 농민문제, 빈곤문제 등에 항의하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 여러 단체에서 2015년 11월 14일 개최한 집회 시위를 말한다.[5] 이 집회는 29명의 부상자와 51명의 체포자를 내고 평화적 해산으로 종료되었으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민중총궐기 투쟁본부 등 민중총궐기 주최 측은 2015년 12월 5일에 2차 민중총궐기 집회를 갖겠다고 밝혔다.[6]출처 및 더 자세한 내용https://ko.wikipedia.org/wiki/2015%EB%85%84_%EB%8C%80%ED%95%9C%EB%AF%BC%EA%.. 2015. 11. 20.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무엇이 문제인가. 1. 국정화란 무엇인가?2. 국사 교과서 국정화 왜 논란인가?3. 국정화 무엇이 문제인가? 1. 국정화란 무엇인가 국정교과서?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에 의하면 교과용 도서는 교과서 및 지도서를 말하며, 교육부가 저작권을 가진 국정도서와 교육과학부기술부장관의 검정을 받은 검정도서, 교육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인정도서로 구분된다. 국정도서는 교육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교과목에 한하며, 교육부 고시 제2011-14호 기준으로 국정도서 개발 대상은 1. 초등학교에서 통합(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 체육 3~4학년, 예술 3~4학년 과목의 교과서 115종, 지도서 63종, 2. 중학교에서 생활 독일어, 생활 프랑스어, 생활 스.. 2015. 10. 9.
반응형